본문 바로가기
지원금

2023년 기초연금 어떻게 받을 수 있을까? 수령 총정리

by Yooms91 2023. 5. 19.
반응형

저소득층 지원을 위한 기초생활보장제도와 비슷해서 일정기간 보험료를 납입하지 않아도 소득과 자산이 일정기준 이하를 충족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지원하여 심각한 노인빈곤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노후에 안정된 혜택을 누릴 수 있다. 노령연금(국민연금)과 헷갈리는 경우가 많지만 조건 충족 시 기초연금과 노령연금(국민연금)중복으로 수령받을 수 있다.

 

노령연금(국민연금) : 가입기간 10년 이상에 출생연도별과 납부한 보험료나 기간에 따라서 지급되며 과세항목이다.

기초연금 : 만 65세 이상, 소득 하위 70% 이하, 소득 수준에 따라서 지급되며 비과세 항목이다.

※ 조건 충족 될 경우 중복으로 수령가능하다.

2023년 기초연금수령 총정리
2023년 기초연금수령 총정리

 

 

반응형

 

  수급자격

  1. 만 65세 이상
  2. 대한민국 국적으로 국내에 거주하는 어르신
  3. 가구의 소득인정액이 선정기준액 이하인 자
  4. 부부 둘 중 한 분만 신청해도 부부가구에 해당

※공무원연금, 사립학교교직원연금, 군인연금, 별정우체국연금 수급권자 및 그 배우자는 원칙적으로 기초연금 수급대상에서 제외된다.

 

  소득인정액

  • 단독가구 202만 원
  • 부부가구 323만 2천 원

  소득인정액이란?

월 소득평가액재산의 월 소득환산액합산한 금액을 말한다.

 

  소득인정액 산정방법

소득인정액=소득평가액 + 재산의 소득환산액

 

  • 소득평가액={0.7 ×(근로소득 - 108만 원) + 기타 소득}

근로소득에서 기본공제액 108만 원을 공제한 금액에서 추가로 30%를 추가 공제한다. 

일용근로소득, 공공일자리소득, 자활근로소득은 근로소득에서 제외된다.

기타 소득은 사업소득, 재산소득, 공적이전소득, 무료임차소득을 말한다.

 

  • 재산의 소득환산액 = [{(일반재산-기본재산액 1)+(금융재산-2,000만 원)-부채} ×0.04(재산의 소득환산율, 연 4%)÷12개월]+고급자동차 및 회원권의 가액 2

고급자동차 3,000cc 이상 또는 4천만 원 이상 및 회원권은 그 가액을 그대로 적용한다.

지역별 기본재산 공제액은 특례시 1억 3,500만 원, 중소도시 8,500만 원, 농어촌 7,250만 원이다. 

 

기초연금 모의계산 바로가기
기초연금 모의계산 바로가기

 

  수령금액

  • 단독가구 : 323,180원
  • 부부가구 : 515,200원

  4가지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는 기준연금액 지급

  1. 국민연금을 받지 않고 있는 자
  2. 국민연금을 받더라도 월 급여액이 484,770원 이하인 자
  3. 국민연금의 유족연금이나 장애인연금을 받고 있는 자
  4.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권자, 장애인연금을 받고 있는 자

 

  감액되는 경우

  1. 부부가구는 20%를 감액받는다. 323,180원 × 2 × 0.8 =517,080원
  2. 기초노령연금 수급자와 미수급자 간 기초노령연금 수급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소득역전 최소화를 위해 소득인정액과 기초노령연금 금액을 합한 금액과 선정기준액의 차이만큼 감액한다.
  3. 소득 재분배급여(A급여)에 따른 산식 또는 국민연금 급여액 등을 고려하여 산정된다.

A급여액에 따른 기초연금액 = (기준연금액-2/4 ×A급여) + 부가연금액

  • 소득 재분배급여(A급여)란?
  1. 국민연금 급여액 중 기초연금적 성격을 가진 부분으로 개인별 기초연금액을 결정하는 기준이 되는 급여이다.
  2. 가입기간이 길수록, 일찍 가입할수록 A급여액은 증가한다.
  3. 가입기간이 동일하더라도 가입 시기, 가입이력에 따라 A급여액은 다를 수 있다.

 

  신청방법

기초노령연금 수급자격을 충족하신 분들은 만 65세 생일이 속하는 달한 달 전부터 신청가능하다.

  1.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
  2. 국민연금공단 지사
  3. '복지로'를 통한 온라인 신청

 

  필요서류

  1. 신분증 (대리 신청 시 신청자 본인 및 대리인의 신분증과 위임장이 필요하다.)
  2. 기초연금을 지급받을 통장사본(본인계좌) (부부가 모두 기초연금을 받으실 경우 부부 모두가 동의하는 경우 한 분의 통장사본만 제출하셔도 된다.)
  3. 배우자의 금융정보 등 제공동의서 (배우자가 있으신 경우 배우자가 신청자격이 없거나 신청을 하지 않더라도 소득·재산 조사의 대상이 되고 방문신청 시 배우자 분의 금융정보등제공동의서를 지참해야 한다.)
  4. 전·월세 계약서(해당자에 한함)
  • 다음 서류들은 읍·면 사무소나 동 주민센터, 국민연금공단 지사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방문해 작성해도 된다.
  1. 신청서
  2. 금융정보 등 제공동의서
  3. 소득·재산 신고서
  4. 수급희망 이력관리 신청서

※정보시스템 조회자료로 소득, 재산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 담당공무원이 추가 서류를 요청할 수도 있다.

 

 


 

 

☞이어 보기 좋은 콘텐츠 추천

 

 

퇴직연금 DB형, DC형, IRP계좌, 중도인출방법 총정리

퇴직연금 제도는 기존의 퇴직금 제도와 달리 기업이 직원들의 퇴직금재원을 사외 금융기관에 적립하여 운용하게 된다. 연금사업자에게 위탁하여 안전하게 운용되다가 근로자가 퇴직 시 본인

yoomshee.com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란, 가입 조건, 계좌 종류, 금액한도, 혜택, 장점과 단점 총정리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란 한 계좌에 다양한 금융상품을 담을 수 있는 계좌로 발생한 이자소득, 배당소득에 대해 비과세 혜택 등을 주는 상품이다. ISA 가입종류 일반형, 서민형, 농어민 3가지

yoomshee.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