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부예산으로 지원되는 산모 건강관리와 신생아 돌보기 서비스 프로그램을 알려드립니다.
지원 대상, 선정 기준, 지원 내용, 신청 방법을 확인하여 혜택 받아보세요.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이란?
출산장려정책의 일환으로 가정방문 산후도우미를 이용할 수 있도록 바우처를 제공하여 산모와 신생아 건강관리를 지원하는 정부지원정책이다.
정부에서 산모도우미를 정부예산으로 지원해 주는 사업으로 정말 좋은 출산장려정책이다.
정부에서 지원하는 산후도우미는 전문교육을 받은 건강관리사가 신생아와 산모를 위해 출산가정을 방문하여 산모의 회복을 돕고 신생아를 보살펴주며 출산가정에 대한 경제적인 부담을 줄여주는 복지사업이다.
지원대상
- 국내에 주민등록(주민등록을 한 재외국민 포함) 또는 외국인 등록을 둔 출산가정을 지원한다.
- 부부 모두가 외국인인 경우 각각의 국내 체류자격 비자(사증) 종류가 F-2(거주), F-5(영주), F-6(결혼이민)인 경우에 한한다.
반응형
선정기준
- 산모 또는 배우자가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에 해당하는 출산가정을 지원한다.
- 산모 및 배우자의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합산액이 전국가구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에 해당하는 출산 가정을 지원한다.
- 소득기준을 초과하더라도 예외적으로 지원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지자체가 별도의 기준을 정해 지원할 수 있다.
예외지원 대상
- 자치단체 예산의 범위 내에서 시행하되 동일 광역시·도 내에서는 가급적 동일한 예외 대상 및 예외 소득기준을 적용하는 것이 원칙
- 희귀 질환·중증난치질환 산모
- 장애인 산모 또는 장애 신생아
- 쌍생아 이상 출산 가정
- 셋째아 이상 출산 가정
- 새터민 산모
- 결혼이민 산모
- 미혼모 산모(사실혼 또는 단순 혼인신고 미신고 상태인 경우 제외)
- 둘째아 이상 출산 가정
- 분만 취약지 산모
- 기준중위소득 150% 초과 출산가정
지원내용
- 본인부담금은 서비스가격에서 정부지원금을 뺀 차액을 부담한다.
- 태아유형, 출산순위, 소득유형, 서비스기간(표준형, 단축형, 연장형)에 따라 차등 지원된다.
- 단태아 : 첫째아(10일), 둘째아(15일), 셋째아 이상(15일)
- 쌍태아 및 중증장애산모&단태아 : 15일
- 삼태아 이상 및 중증장애산모&쌍태아 이상 : 20일
- 표준서비스기간을 기준으로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5일 단축 또는 5일 연장 이용가능
- 바우처 유효기간은 출산일로부터 60일 이내이고 바우처 잔량이 있더라도 유효기간이 경과하면 바우처 소멸된다.
- 미숙아, 선천성 이상아 출산 등으로 입원한 경우는 퇴원일로부터 60일 이내로 출산일로부터 120일, 출산예정일로부터 60일 중 늦은 날짜가 경과하면 바우처 소멸된다.
표준 서비스 내용
- 산모건강관리(유방관리, 산후 부종관리, 영양관리 등)
- 신생아 건강관리(목욕, 수유지원, 위생관리 등)
- 산모 정보제공(응급상황 발견 및 대응, 감염 예방 및 관리, 신생아 케어 관련 산모 교육 등)
- 가사활동 지원(산모 식사준비, 산모·신생아 세탁물관리 등)
- 정서지원(정서적 지지 등)
신청
신청기간
- 출산예정일 40일 전부터 출산일로부터 20일까지 신청가능
- 임신 16주 이상 발생한 유산사산의 경우 확인일로부터 30일 이내에 신청
- 미숙아, 선천성 이상아 출산 등으로 입원한 경우 신생아 퇴원일로부터 30일 이내에 신청
신청방법
- 산모의 주소지 관할 시·군·구 보건소 방문신청
- '복지로' 홈페이지 24시간 온라인신청 가능
☞이어 보면 좋은 콘텐츠 추천
아이의 예상 키 최적화, 최고의 높이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요소
건강한 키 성장을 위한 예상 키 최적화 전략을 공유하여 아이의 충분한 크기를 달성하는데 도움이 되는 내용을 알려 드립니다. 목차 1. 유전자 2. 수면 3. 키크는 운동 4. 키성장에 도움되는 영양
yoomshee.com
희귀질환자 의료비 지원제도 지원 대상과 신청 방법 알아보기
희귀 질환자들을 돕기 위한 의료비 지원 제도의 내용과 지원 대상, 신청방법을 전달해 드립니다. 지원받을 수 있는 항목과 선정 기준을 확인해 보세요. 목차 1. 희귀질환자 의료비 지원이란? 2.
yoomshee.com
'부자아빠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운 증후군 이해하기 원인, 증상, 치료법 총 정리 (0) | 2023.07.04 |
---|---|
가 볼만한 곳 추천 수원 화성 행궁 체험 및 해우재 정보 총정리 (0) | 2023.07.01 |
아이의 예상 키 최적화, 최고의 높이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요소 (0) | 2023.06.26 |
조기 발견이 중요한 '난독증' 인식의 중요성과 교육의 지원 (0) | 2023.06.20 |
어린이 틱장애 심층 분석 원인부터 치료까지 총정리 (0) | 2023.06.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