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디딤씨앗통장을 통해 아동 발달 지원! 지원대상, 지원내용 및 적립금 사용법, 해지까지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방법 제대로 알아보세요.
아동발달지원계좌(디딤씨앗통장)란?
취약계층 아동의 사회진출 시 학자금, 취업, 창업, 주거마련 등에 소요되는 초기비용 마련을 위한 자산형성을 적극적, 장기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미래 성장 동력인 아동에 대한 사회투자로 빈곤의 대물림을 방지하고 건전한 사회인 육성을 위해 만들어졌다.
지원대상
보호대상아동
- 만 18세 미만의 아동복지시설 (아동양육시설, 공동생활가정), 보호아동, 가정위탁 보호아동, 장애인생활시설 아동, 소년소녀가정 아동
기초생활수급가구 아동
- 중위소득 40% 이하의 수급가구(생계, 의료 급여)의 만 12세부터 만 17세까지 아동 중 신규 선정하여 만 18세 미만까지 지원
반응형
기 가입 아동 중 가정복귀 및 탈수급가구 아동
- 보호대상아동이 가정회복으로 중도에 가정으로 복귀하는 아동도 계속지원
- 기초생활수급가구 아동 또한 해당 가정이 중위소득 40%를 초과해도 계속 지원
유의사항
- 지자체의 유사 자산형성지원사업과 중복지원 불가능
- 희망플러스(서울시), 꿈나래(서울시) 통장 등과 중복지원 금지
- 서울시는 꿈나래통장 사업과 지원가구 중복 가능성을 고려하여 기초수급자 아동 사업지역에서 제외
- 지원대상 및 사업취지를 고려하여 희망키움통장과는 중복지원 가능
지원내용 및 지원기간
지원내용
- 아동(보호자, 후원자)이 매월 일정금액 적립 시 월 5만 원 내의 범위에서 1:2 매칭 지원한다.
- 기본 매칭적립
- 아동이 후원자 또는 보호자의 도움 등으로 적립 시 월 5만 원 내의 범위에서 1:2로 매칭하여 국가(지자체)가 월 10만 원 내 지원
- 추가 적립액
- 5만원 적립 후 월 50만 원(연간 600만 원) 내에서 추가 적립 가능, 월 5만 원을 넘는 추가 적립액에 대한 국가 매칭은 불가(매칭지원금은 월 최대 10만 원)
- 아동적립금은 월 최대 50만 원, 정부 매칭 지원금은 월 최대 5만 원까지 가능
지원기간
- 보호대상아동 및 기초생활수급가구 아동 가입 시부터 만 18세 미만까지 지원
적립금 사용용도
- 만 18세(만기) 이후 학자금, 기술자격 및 취업훈련비용, 창업지원금, 주거마련 지원 등 자립 용도에 한해 사용가능
- 만 24세까지 학자금, 기술자격취득, 주거마련 등 자립사용용도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만 24세 도달 시 사용 용도 제한 없이 아동 적립금 및 정부매칭지원금의 지급 가능
- 향후 만 24세 도달 시 자동으로 본인 명의 계좌로 인출되는 시스템 구축 예정
해지
- 만기해지가 원칙이며 일정조건 만족 시 조기인출 가능
- 만기해지는 만 18세 이상, 적립금 사용 용도 충족할 경우 만 24세 이후는 제한 없이 전액인출 가능
- 만기 후 적립예금 인출은 일부 금액만 사용용도 충족 할 경우 아동적립금 한도 내에서 조기인출 포함 5회까지 가능
- 조기인출은 만 15세 이상 3년 이상 적립 한 경우 아동적립금 한도 내에서 2회까지 가능
- 중도해지(환수)는 아동의 사망, 이민 및 이에 준하는 사유가 발생한 경우 아동적립금만 지급되고 매칭금은 환수
신청방법
- 거주지 주민센터를 방문
- 복지로에서 온라인으로 신청
☞이어 보면 좋은 콘텐츠 추천
2023년 기초생활수급자 신청방법, 선정기준, 소득인정액 계산방법, 혜택 총정리
생계가 곤란한 저소득층이 생계, 의료, 주거, 교육 등 가정의 상황에 맞게 지원받을 수 있는 제도이다. 2023년 기준 기초생활수급자 자격요건, 지원금, 혜택 정리, 신청방법을 알아보고 정리해보
yoomshee.com
긴급상황에서 받는 생계지원금 '긴급복지 생계지원금' 총정리
긴급복지 지원 대상은 생계 곤란 등 위기 상황에 처하여 도움이 필요한 사람 또는 그 외 생계 및 주거를 같이 하고 있는 구성원을 대상으로 하며 긴급을 요하는 일이 생길 때 선지원 받는 방법을
yoomshee.com
'지원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들의 자존감을 지원 합니다! 탈모치료를 돕는 '청년 탈모 지원금' (0) | 2023.06.23 |
---|---|
한부모가족 아동양육비 지원 정책! 지원대상, 선정기준, 지원내용 및 신청 방법 핵심요약 (0) | 2023.06.17 |
기존주택 전세임대주택 지원사업 완벽 가이드 지원대상, 주택, 금액 및 기간, 신청방법 (0) | 2023.06.17 |
희귀질환자 의료비 지원제도 지원 대상과 신청 방법 알아보기 (0) | 2023.06.10 |
난임 부부 시술비 지원 대상, 지원 내용, 신청 총정리 (0) | 2023.06.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