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자의 생각

돈의 속성 책 읽은 후 저자 소개, 줄거리, 느낀 점

by Yooms91 2023. 3. 31.
반응형

돈의 속성 책을 읽은 후 저자소개, 줄거리, 느낀 점에 대해 작성한다. 제목 그대로 자본주의의 필수적인 요소인 돈에 대해 어떤 속성이 있는지 알려주는 책이다. 돈이란 무엇인가, 돈이 내 삶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이 있는지에 대해 생각해보게 하고 부자의 마음가짐은 어떤지 내가 어떻게 하면 부자가 될 수 있는지 우리의 삶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돈이다. 이 돈을 어떻게 벌고 사용해야 하는지 돈을 대하는 방법을 말해주고 있다.

저자

김승호 1987년 대학 중퇴 후 미국으로 건너가 한국 식품점, 이불가게, 컴퓨터 조립회사 등 사업체를 운영하며 실패를 거듭하다 2005년 식당 체인을 인수한 후 전 세계적으로 매장을 확대하며 한인 기업 최초 글로벌 외식 그룹인 SNOWFOX GROUP의회장으로 성공을 했다. 그는 다양한 매체를 통해 경제 관련 문제를 다루고 있고 사람들에게 각종 강연을 하고 있다. 전문가들 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쉬운 스타일로 접근하여 많은 사람에게 인기를 얻고 있다. 베스트셀러 작가이며 저서로는 "김밥 파는 CEO" "성장의 조건" "알면서도 알지 못하는 것들" 등이 있다. 경제 이론을 기반으로 사람들의 삶의 질을 향상할 수 있도록 연구와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줄거리

스노폭스 그룹의 김승호 회장이 한 극장을 빌려 사람들에게 강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집필됐다. 강연은 방송을 통해 전파됐고 여러 사람에 의해 공유되면서 의미가 왜곡되거나 정확한 뜻이 전달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시작되어 모든 사람들이 돈의 속성에 대해 알 수 있게 도와주는 책이다. 돈이란 무엇인가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돈의 역사, 현재 시스템, 돈의 역할, 돈과 관련된 여러 문제들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해 준다. 돈의 5가지 속성에 대해서는 먼저 "돈은 인격체다"라고 했다. 돈을 인격체로 보면 돈은 감정과 생각이 있고 작은 돈을 함부로 하지 말라고 한다. 돈을 함부로 대하고 하찮게 대하면 돈은 감정이 있기 때문에 자신을 함부로 하는 사람을 떠난다. 돈은 언제나 나를 지켜보고 있기에 좋은 마음을 가진 사람에게는 기회를 주고 보호해 준다. 둘째 돈이 많으면 많을수록 힘이 커진다. 즉 돈은 중력의 힘을 가졌다. 가까이 있는 돈을 잡아당기는 능력이 있고 주변 돈에 영향을 준다. 셋째 규칙적으로 들어오는 돈의 힘은 일정하게 들어오는 것 자체가 힘이다. 넷째 고생해서 번 돈은 공짜로 얻은 돈보다 힘이 세다. 돈을 모으는 과정에 따라 힘이 달라진다. 고생해서 번 돈은 쉽게 쓸 수 없고 그 과정에서 얻은 힘은 내 능력이다. 다섯째 남의 돈에 대한 태도가 중요하다. 내 돈이 소중하면 남의돈도 소중한 것이다. 돈을 버는 능력, 돈을 모으는 능력, 돈을 유지하는 능력, 돈을 쓰는 능력 이 능력은 돈을 다루는 능력이다. 균형을 맞춰 천천히 다가가야 한다. 빨리 부자가 되려면 빨리 부자가 되려고 하면 안 된다. 스스로에 대해 자존감이 없는 사람은 돈을 제대로 사용하는 방법을 몰라서 돈이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한다. 부에 어울리는 사람이 됨으로써 돈을 지키고 부자로 살 수 있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 일어나자마자 기지개 켜기, 자고 일어난 이부자리를 잘 정리하기, 아침 공복에 물 한잔 마시기, 일정한 시간에 자고 일정한 시간에 일어나기 이처럼 규칙적인 생활은 나를 변화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

느낀 점

책 제목만 봤을 때는 어려운 내용 같아서 왜 유명할까? 에 대한 궁금증으로 읽게 되었다. 아무리 좋은 책이어도 책만 읽는다고 내가 부자가 될 수는 없다. 내 인생을 위한 도구로서 도움을 줄 뿐이다. 내 생각에 대한 잘못된 부분은 바꿀 수 있고 맞는 부분은 확신을 가지고 살면 된다. 현대인으로 살아가면서 돈은 인생에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하지만 돈만 많다고 행복한 사람이 될 수는 없다. 돈은 많으면 좋겠다는 막연한 생각으로 살고 있었는데 돈에 대한 생각, 돈을 대하는 나의 태도 등 중요한 것이 많은 것 같다. 또한 나뿐만 아니라 내 자식에게 경제교육을 꼭 시켜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특히 부모의 포기를 자녀에게 물려주지 말라는 부분을 읽고는 과거에 대한 후회도 하고 미래에 대한 생각이 많아지는 구절이었다. 내 아이가 좋아하고 스스로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도록 포기하지 않고 계속 도전하는 어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

댓글